한옥체험관에서 시민 대상으로 인터뷰하기
목적 : 한옥체험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의견을 묻고 공감대를 만들어간다! 👨👧👦
삼미우야 경험
미연 : 김해에서 오랫동안 살았지만, 한옥체험관을 처음 안으로 들어왔어요.
한옥체험관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어요?
미월 : 제 또래들은 한옥을 지역에 돌려주는 것에 대한 기대감이 별로 없는 것 같아요.
한옥을 떠나서 재미있다면 다들 놀러오지 않을까요?
미 : 분명 활용할 것들이 많은 것 같은데, 왜 사람들이 안올까요? 사람들 이야기 듣고 싶어요.
우야 : 같이 합니다!
시민, 청년 입장에서 미래하우스에 관한 질문하기
- 보통 한옥에서 어떤 활동을 하면 재미있을까요?
노빵서(6세) : 푹 자는 거. 쉬고 싶어요.
까꿍(30대) : 좋은 사람들이랑 한복을 입고 추억을 남기면 좋겠어요.
더사진(40대) :
익명 (20대) : 찻집했으면 좋겠다.
지욘(20대) : 요가,다도 같이 다양한 주제로 원데이 클래스가 진행되면 좋겠습니다.
지윧(20대) : 한복을 입고 각자 역할을 정해서 역할극(?) 해보기 (한국민속촌 처럼)
- 시민들에게 한옥체험관의 이미지는 어떠신가요?
노빵서(6세) : 자는 그림
까꿍(30대) : 익숙하지 않고 돈 내고 들어가는 곳이요.
더사진(40대) : 원래 한옥의 담이라는 건 가다가 까치발만 들면 살짝살짝 넘어서 보는 건데, 여기 한옥 담은 철옹성같이 내부를 볼 수없다. 들어가도 되나고 많이 물어야 할 것 같고, 들어가도 부담스럽고 그렇다.
지욘(20대): 결혼식, 돌잔치, 한옥 숙박 이용 등 분명한 목적이 있어야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 진입장벽이 느껴지는 곳
지윧(20대): 안에서 뭘하는건지, 들어가도 되는건지 고민되는 곳
- 한옥체험관을 어떻게 쓰였으면 좋겠어요? (공간활용)
노빵서(6세) : 조금 놀고 많이 쉬고 싶어요. 많이 자고 싶어요.
까꿍(30대) : 그냥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으면 좋겠어요.
더사진(40대) :
지욘(20대): 누구나 오고갈 수 있는 열린공간으로 활용되면 좋겠습니다. 사진찍으러 들어오고 맛있는 차 먹으러 들어오고 뭔가를 배우러 들어오고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면 좋을 것 같아요. 일식당 처럼 바닥에 구멍이 뚫린 좌식으로 만들어서 강연, 영화상영회 등의 공간으로도 활용되면 좋을 것 같아요!
지윧(20대) :
한옥이 돌아왔다 스티커주기
리워드 찾기 (추천부탁)
오픈소스 공유저작권